일본어 문법 ようだ(~인 것 같다) 알아보기


일본어 문법 ようだ(~인 것 같다)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 저번에는 ~인 것 같다의 ‘미타이다’에 대헤서 알아 보았는데요. 오늘은 ‘요우다’는 일본어 문장을 만들 때 어떻게 사용 되는지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.

일본어 문법 ようだ (~인 것 같다)

품사결합 방식예문
명사명사 + の + ようだ子供のようだ (아이 같은 것 같다)
な형용사어간 + な + ようだ静かなようだ (조용한 것 같다)
い형용사기본형 + ようだ暑いようだ (더운 것 같다)
동사기본형 + ようだ雨が降るようだ (비가 올 것 같다)

‘미타이다’와 마찬가지로 ‘요우다’ 또한 앞에 명사,나형용사,이형용사,동사가 나옴에 따라서 문장을 만드는 방법이 달라 집니다.



명사 + の + ようだ


명사가 앞에 오면 중간에 ‘노’를 붙인 다음에 ‘요우다’를 사용해야 합니다.

  • 子供のようだ (아이 같은 것 같다)


어간 + な + ようだ(나 형용사)

나 형용사는 나형용사의 어간 + な + ようだ 이 순으로 진행됩니다. 보통 나 형용사는 ‘~다’로 끝나기 때문에, 어간 삭제 후에 ‘나’를 붙이고 ‘요우다’ 가 옵니다.

  • 静かなようだ (조용한 것 같다)


기본형 + ようだ( 이 형용사)


이 형용사는 기본형 + ようだ 순서로 진행되며, 무언가 바뀌지 않습니다.

  • 暑いようだ (더운 것 같다)


기본형 + ようだ(동사)


동사가 앞에 올 때는 기본형 + ようだ 형태 입니다. 이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기본형 그대로 사용되고 뒤에 ‘요우다’를 붙여 줍니다.

  • 雨が降るようだ (비가 올 것 같다)

ようだ와 みたいだ의 차이

‘ようだ’는 관찰과 근거를 통해 객관적으로 추측하는 경우, 주로 문어체나 격식적 인 표현에서 사용됩니다.’みたいだ’는 주관적이거나 감각적인 인상을 전달하며, 회화체 에서 자주 쓰입니다.

쉽게 이해하고 쉽다면 더 많이 쓰는 표현은 ‘미타이다’입니다. 애니메이션 자주 보시는 분들은 ‘요우다’ 보다는 ‘미타이다’를 훨씬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.